본문 바로가기

4차산업혁명

21세기 혁신은 '외부 혁신'의 성취가 열쇠

"21세기 혁신은 남이 나를 위해 혁신토록 하는 '외부 혁신'의 성취가 열쇠다"
"구조적 양손잡이 조직이 되라"

김영배 KAIST 경영대학장의 6월 15일  KAIST 경영자과정 총동문회 2/4분기 만찬포럼 핵심 메시지입니다.

주제는 [혁신적 조직을 위한 전략]이었는데 요지를 나름 간추려드립니다.

이 포럼에는 홍릉까지의 왕복을 감수하고 70명 가까운 동문들이  동참해
열기 높게 진행됐습니다.
------------------------

애플사의 성공 방정식을 보자.

아이폰은 흔히 폐쇄적으로 관리하던 내부 운영체제(소프트웨어)를 수정, 외부에 공개하면서 성공의 고삐를 잡았다.

외부 개발자들에게 개발 코드를 공개하고 아이폰 용으로 개발한 앱을 팔수 있는 앱 스토어를 내놓아 폭발적인 성장을 하게됐다.

글로벌 개발자들의 혁신 역량이 애플의 플랫폼에 집결되자, 애플도 생각치 못한 부가가치가 폭증했다.
자체 직원만으로만 진행했다면 불가능한 대성공이었다.
--------------------

P&G의 C&D(Connect & Develop)전략을 보자.
과격한 Open Innovation이다.

CEO 앨런 레프리는 "우리의 목표는 혁신의 50%를 외부에서 가져오는 것이다"라고 선언했다.

내부 연구인력 7,500명의 100배에 이르는 70만명의 외부 연구인력을 활용했다.

그 결과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은 감소했으나  R&D 생산성은 60% 증가했다.
프링글스 등 다양한 신제품들이 나왔다.
--------------------

기업 내부에서 폐쇄형 기술혁신을 하면, 갈수록 Output의 통로가 좁아져 혁신이 갈수록 옹색해진다.

그러나 개방형 기술혁신을 하면 해당 기업의 담장이 열려 결실이 다양해진다.
라이선스, Spin-Off, 기술 판매 등 생각 못한 신규 매출도 성취된다.

                                                                                      PPT=김영배 교수

폐쇄형 혁신을 하면 갈수록 개발 비용이 증가하지만
개방형 혁신을 하면 외부 개발 효과로 비용과 시간이 감축된다.  

요컨데 조직 외부의 수많은 혁신 원천을 활용할줄 알아야 미래가 열린다.


외부 원천에는 '사용자 혁신'(User Innovation)도 중요한 소스다.

소니의 로롯 아이보도 사용자들의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뛰어나자 이를 흡수해
부가가치를 높였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야 말로 유용한 외부 원천이다.

고객들의 아이디어를 온라인에서 모아 제품이나 솔루션을 만들어내는
Threadless나   Innocentive, NineSigma, YourEncore, TopCoder 같은 서비스들도 그런 예다.

위키피디아(글로벌 시민이 만드는 온라인 백과사전)나 유튜브의 대성공도
글로벌 시민의 집단지성을 효과적으로 결집시킨 시스템 덕분이다. 
----------------------

이와 함께 '구조적 양손잡이(Structural Ambidexterity)조직'이 될 것을 권한다.

CEO 밑에 기존 비즈 조직에서 독립된 신규 비즈니스 개발 조직을 병치하는 전략이다.

탐색 조직에는 차별화된 조직관리 및 평가와 보상 시스템이 필수다.
실패 허용 등 다른 문화를 보장해야 하는 것이다.

그 탐색 조직이 회사를 위한 외부 혁신을 끌어오도록 하자.


좀처럼 혁신을 만들지못해 고전하던 IBM이 EBO(Emerging Business Opportunity)

Process를 도입하면서 혁신을 이룬 사례를 배우자.

KAIST 경영자과정 총동문회 재능나눔협동조합 제공

ceocoop@naver.com

02-564-1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