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낭보 1> 한국 이제 G7을 꿈꾼다
■1인당 국민소득(2020년), G7 이탈리아 제친다---'수출 한국'의 힘■
내수·관광 중심 이탈리아, 코로나 충격 직격
한국은 수출, 공장 정상 가동으로 성장률 상대적 '선방'
-----------
●한국경제신문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처음으로 이탈리아를 제친 것으로 추정된다●
현실화된다면 우리나라가 '선진국 클럽'인 G7 국가(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를 넘어선 첫 사례가 된다
●우리나라 1인당 GNI가 1000달러 가량 감소하지만 이탈리아가 3000달러 안팎까지 줄게 되면서 두 나라 간 GNI가 역전되는 것●
1일 OECD의 한국 GDP 증가율 전망치와 평균 환율 등을 적용하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GNI는 3만1200~3만1300달러선
2019년 3만2115달러에서 줄었지만 OECD 국가 중 감소율 최저다
(OECD는 지난달 초 2020년 한국 성장률을 -1.1%로 예측)
----------------
OECD는 이탈리아의 2020 성장률을 -9.9%로 내다봤다.
IMF는 더 낮은 -10.6%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탈리아의 2019년 OECD 기준 1인당 GNI는 3만3205달러다.
여기에 OECD 성장률 전망치를 적용하면 지난해는 3만달러대 초반까지 급감하게 된다.
2만달러대로 내려앉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코로나 충격이 두 나라의 희비를 갈랐다
관광업 등 서비스업과 내수 비중이 높은 이탈리아 경제는 지난해 코로나 충격으로 곤두박질쳤다
●반면 제조업·수출 산업 비중이 높고 공장이 거의 다 정상가동된 한국은
유럽 국가들에 비해 코로나 충격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
---------------
*G7(서방 7개국 모임)은 1976년 미국 주도로 만들어진 서방 정상회담
그러나 일본, 이탈리아 등 상당수 국가의 국력이 쇠락해 판을 새로 짤 때가 되었다
G7은 45년 된 낡은 개념으로 전락
●코로나는 어느 국가가 21세기의 선진국인지를 재정리해 주었다●
유니클로 야나이 다다시 회장은 최근 "일본은 이제 중진국"이라고 자인한 바 있다.
'한국경제 파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2021년 블룸버그 혁신지수> 세계 1위■ (0) | 2021.03.02 |
---|---|
■K방역 히트 2 라운드■ 5가지 (0) | 2021.02.25 |
●한국 <코로나 국가재정 지출총액·직접지원 규모> G20 꼴지● (0) | 2021.02.15 |
2020 수출 4년 연속 5천억 달러 돌파(2021 새해 낭보 3) (0) | 2021.01.15 |
■한류 2.0, CT로 재도약■(새해 낭보2) (0) | 2021.01.15 |